History : Home > 안과질환소개 > 망막박리
 

망막박리는 10,000명중 1명꼴로 발생하는 심각한 눈의 질환입니다. 망막박리는 노화의 결과로 40대 후반에 종종 발생하지만 또한, 근시가 심한 사람, 망막이상의 가족력을 가진 사람, 또는 눈수술을 경험한 사람에게서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구의 외상 역시 망막박리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고도근시나 나이가 들게 되면 노화과정의 한부분으로서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초자체가 액화가 되고 일부는 흉터가 생겨서 망막으로부터 밀려나고 위축되기 시작합니다. 이 위축의 대부분은 눈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나 때때로 유리체가 망막에 강하게 유착되어 있어 유리체가 망막을 잡아당겨서 망막이 찢어질 수가 있습니다.또한 고도근시나 체질적으로 망막이 얇은 곳에서도 흉터에 의해서 쉽게 망막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일단 이러한 망막열공이 존재하면 초자체로부터 수분이 망막의 찢어진 틈을 통해 스며들 수 있습니다. 물은 망막을 안구벽으로부터 분리시키며,마치 벽지가 벽에서 떨어지는 것과 같이 됩니다. 박리된 망막의 부분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시력손실에 이르게 됩니다. 망막박리는 종양, 염증, 당뇨의 합병증으로 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박리는 망막에 구멍이나 열공이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읍니다. 

망막열공은 대부분 증상 없이 일어납니다. 어떤 경우 초자체가 망막으로부터 밀려나 환자가 번쩍거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문증은 시야에 거미줄이나 날파리, 검은 점모양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찢어진 망막혈관의 출혈이나 초자체 물질의 작은 찌꺼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모든 번쩍임이나 비문증이 반드시 망막열공같은 심각한 질병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증상의 중요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안과적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일단 망막박리가 발생하면 보는 것이 침침하게 느껴지기도 하며 주변부의 망막이 박리가 일어나면 커튼이나 그림자가 시야를 가로질러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황반부에 박리가 일어나면 중심시력이 나빠지고 사물을 자세히 보거나 글을 읽는 등의 활동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때때로 박리는 갑자기 일어나기도 하며, 완전시력상실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망막에 구멍이 생겨서 망막박리가 생겼을 경우 망막에 생긴 모든 구멍을 막아주는 수술(공막돌융술)을 하게 됩니다. 구멍이 모두 잘 막히게 되면 망막이 제자리에 다시 붙게 되고, 그럼으로써 안구를 유지시키고 (망막이 계속 떠 있으면 안구가 제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쭈그러들어서 눈이 작아지게됩니다.) 시력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망막은 사진기의 필름에 해당되는 종이쪽과 같이 얇은 신경조직으로 안구의 뒷쪽 내벽에 벽지처럼 붙어 있는 것으로서, 빛이 눈에 들어올 때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상을 맺게 됩니다. 망막은 시신경을 통해 뇌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활을 하며 색깔과 사물을 구별하고 시력을 나타내는 중심부분을 황반(중심와)이라고 부르며 ,황반 이외의 망막은 주변부를 보거나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볼 때 주역활을 합니다.